반응형
- 일차방정식의 활용(연속한 수에 관한 문제)
5. 일차방정식의 풀이(4)
연속한 수에 관한 문제
연속하는 두 자연수의 합이 33일 때, 두 자연수를 구해 보자.
일차방정식의 풀이 과정을 상기해 보자.

연속하는 두 자연수의 합이 33이라고 했는데, 연속했다는 것의 의미가 무엇일까?
연속하다는 것이 끊이지 않고 쭉 이어져 있는 것이므로
두 자연수가 연속했다는 것의 의미는,
우리가 자연수를 셀 때 1, 2, 3, 4, 5, 6, … 이렇게 띄엄띄엄 세지 않고 쭉 이어져 있는 것을 말한다.
즉, 연속하는 두 자연수란 4, 5처럼 연이어서 세는 수, 하나 커진 수를 의미하는 것이다.
미지수 \(x\)를 사용하여 연속한 두 자연수를 표현해 보자.
하나씩 커진 수이므로
하나의 수를 \(x\)라고 두면 다른 하나는 여기에 \(1\) 을 더한 수 \(x+ 1\)이라고 둘 수 있다.
즉, \(x\)와 \(x+1\)
다른 방법도 있다.
이번에는 뒤에 있는 수가 \(x\)라고 하면 앞에 있는 수는 여기에 \(1\) 을 뺀 수 \(x-1\) 이라고 할 수 있다.
즉, \(x-1\) 과 \(x\)
연속한 두 자연수를 위의 두 가지 방법 중에서 자신이 편리한 것을 사용하면 된다.
필자는 뺄셈보다는 덧셈을 선호하므로 전자의 방법으로 풀이해 보겠다.
이제 일차방정식의 풀이방법에 따라 풀어보자.

연속한 수를 \(x\)를 사용하여 나타내기
연속한 수를 \(x\)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내면 편리하다.
필자가 선호하는 것은 분홍색으로 표시해 두었다.
반응형
'중등 수학 > 중1 수학(1학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1 수학] <3단원 문자와 식> 정리 (0) | 2023.07.29 |
---|---|
[중1 수학] 복잡한 일차방정식의 풀이(거리, 속력, 시간에 관한 문제) (0) | 2023.07.28 |
[중1 수학] 일차방정식의 활용(실생활 문제 푸는 방법) (0) | 2023.07.26 |
[중1 수학] 복잡한 일차방정식의 풀이방법(계수가 소수나 분수) (0) | 2023.07.25 |
[중1 수학] 이항을 이용한 일차방정식의 풀이방법 (0) | 2023.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