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등호의 발견
영국의 수학자 해리엇(1560~1621)이 죽은 지 10년 후에 발행된 그의 책
'해석술의 연습'에서 ~보다 크다, ~보다 작다의 의미로 부등호 >, <를 사용하였다.
당시 부등호로 여러 가지 기호를 사용하였는데 기억하기 어려워 자주 혼돈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해리엇의 부등호가 즉시 받아들여져 사용된 것은 아니다.
거의 1세기가 지난 후에야 프랑스의 과학자 부게르(19=698~1758)에 의해 ≥, ≤와 함께 사용되었다.
부등호의 사용
부등호를 사용하여 문장을 식으로 나타내다!!
![]() |
![]() |
![]() |
![]() |
a는 b보다 크다. a는 b 초과이다. |
a는 b보다 작다. a는 b 미만이다. |
a는 b보다 크거나 같다. a는 b 이상이다. |
a는 b보다 크거나 같다. a는 b 이하이다. |
반응형
'중등 수학 > 중1 수학(1학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1 수학] 덧셈과 뺄셈의 관계 이해하기 (0) | 2023.07.02 |
---|---|
[중1 수학] 덧셈의 교환법칙, 결합법칙 (0) | 2023.07.01 |
[중1 수학] 절댓값이란? 절댓값이 성질 (0) | 2023.06.29 |
[중1 수학] 정수와 유리수의 덧셈 계산하기 (0) | 2023.06.28 |
[중1 수학] 수의 대소관계, 절댓값의 뜻 (0) | 2023.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