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정수의 뜻
- 유리수의 뜻
1. 정수와 유리수의 뜻
정수의 뜻 : 양의 정수, 음의 정수, 0을 통틀어서
유리수의 뜻 : 양의 유리수, 음의 유리수, 0을 통틀어서
서로 반대인 성질을 수량으로 나타내면?
서로 반대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 양을 나타낼 때, 양의 부호 +와 음의 부호 -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 | 영상 | 상승 | 이익 | 증가 | 해발 | 지상 | 수입 |
- | 영하 | 하강 | 손해 | 감소 | 해저 | 지하 | 지출 |
예를 들면
3000원의 손해 : -3000, 5000원의 이익 : +5000으로 나타낸다.
+, -로 나누는 기준은?
부호의 등장으로 +와 -를 나누는 기준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 기준을 0으로 정하였다.
그래서 모든 수들을 +가 붙은수, -가 붙은 수 그리고 기준인 0으로 나눌 수 있게 되었다.
정수
우리가 알던 수들은 자연수, 분수이다.
이것을 바탕으로 +와 -를 붙여보자.
자연수에 양의 부호(+)를 붙인 수 : 양의 정수
자연수에 음의 부호(-)를 붙인 수 : 음의 정수
양의 정수, 음의 정수, 기준이 되는 수 0을 통틀어서 정수라고 한다.
분수에 양의 부호(+)를 붙인 수 : 양의 유리수
분수에 음의 부호 (-)를 붙인 수 : 음의 유리수
양의 유리수, 음의 유리수, 기준이 되는 0을 통틀어 유리수라고 한다.
정수는 유리수일까?
모든 자연수는 분모가 1인 분수로 만들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기준인 0도 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
양의 정수, 음의 정수, 기준점인 0도 모두 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정수는 유리수이다.
유리수의 분류
반응형
'중등 수학 > 중1 수학(1학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1 수학] 수의 대소관계, 절댓값의 뜻 (0) | 2023.06.27 |
---|---|
[중1 수학] 분수로 나타낼 수 없는 수가 있다!! (0) | 2023.06.26 |
[중1 수학] <1단원 소인수분해> 정리 (0) | 2023.06.23 |
[중1 수학] 소인수분해를 이용한 약수의 개수 찾는 방법 (0) | 2023.06.22 |
[중1 수학] Ⅰ.소인수분해 1.4 최소공배수(2) (0) | 2023.06.21 |